"부처님 오신 날" 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 시점에 저희에게 너무 기쁜 소식이 전해졌죠. 2023년 부처님 오신 날이 5월 27일로 토요일이었는데 대체공휴일로 지정되어 5월 29일 월요일까지 쉴 수 있다는 사실! 어린이날에 이어 3일 연짱 휴일을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번 기회에 사찰 나들이 어떠세요? 부산에 정말 이름난 훌륭한 절들이 몇 군데 있어 소개해봅니다.
1. 통도사
통도사는 지역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에 속하지만 부산에서도 쉽게 방문해볼 수 있는 사찰입니다. 통도사는 한국의 삼보사찰 중 하나로 절의 크기가 크고 한국 불교 문화재의 보고라고 할 만큼 문화재가 많은 곳입니다. 그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통도사에 안치되어 있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입니다. 신라 선덕여왕시절 자장율사라는 분이 당나라 유학시절 문수보살을 만났고 그분에게서 부처님의 사리 및 염주 경전 등을 받으셨다고 해요. 통도사의 대웅전에 옆에 금강계단이 있는데 이곳에 석가모니의 사리가 모셔져 있다고 합니다. 통도사의 내부에는 불상이 모셔져 있지 않습니다. 대신 석가모니의 사리가 모셔져 있는 금강계단이 보여 참배할 수 있다고 하네요!
정말 흥미로워서 나무위키에서 몇 구절 퍼왔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통도사는 절도 훌륭하지만 사찰로 가는 길도 산책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노송들이 절경을 이루고 산에서 내려온 개울물이 졸졸 흐르는 소리르 듣고 있으면 이곳이 인간세계인지 신선세계인지 잠시 착각하게 만들죠.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유학하던 시절에 중국 우타이산(五臺山)에서 기도를 드리고 있었는데, 이때 문수보살을 만났다고 한다. 문수보살은 자장율사에게 가사 한 벌과 진신사리 1백과, 불두골(佛頭骨), 손가락뼈(指節), 염주, 경전 등을 주면서 "이것들은 내 스승 석가여래께서 친히 입으셨던 가사이고, 또 이 사리들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이며, 이 뼈는 석가모니의 머리와 손가락 뼈이다. 그대는 말세(末世)에 계율을 지키는 사문(沙門)이므로 내가 이것을 그대에게 주노라. 그대의 나라 남쪽 축서산(鷲栖山: 영축산의 옛 이름) 기슭에 독룡(毒龍)이 거처하는 신지(神池)가 있는데, 거기에 사는 용들이 독해(毒害)를 품어서 비바람을 일으켜 곡식을 상하게 하고 백성들을 괴롭히고 있다. 그러니 그대가 그 용이 사는 연못에 금강계단을 설치하고 이 불사리와 가사를 봉안하면 삼재(三災 : 물, 바람, 불의 재앙)를 면하게 되어 만대에 이르도록 멸하지 않고 불법이 오랫동안 머물러 천룡(天龍)이 그곳을 옹호하게 되리라."라고 말했다.
[2]
자장율사는 그것을 들고 신라로 귀국하였고, 연못에 와서 독룡 아홉 마리에게 설법을 하니, 독룡 아홉 마리는 곧 교화되었다. 그중 다섯 마리는 오룡동(五龍洞)으로, 세 마리는 삼곡동(三洞谷)으로 날아갔는데, 오직 한 마리만이 남아서 터를 지키겠다고 굳게 맹세하였으므로 자장율사는 그 용의 청을 들어 통도사에 남도록 했다고 한다. 독룡 아홉 마리가 살던 연못을 메워 금강계단을 세우고 그 안에 중국에서 들고 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안치하였다. 그러나 연못 한 귀퉁이는 메우지 않고 남겨 두었는데, 이곳이 지금의 구룡지로, 마지막 한 마리 남은 용이 있는 곳이라 한다. 불과 네댓 평의 넓이에 지나지 않으며, 깊이 또한 한 길도 채 안 되는 조그마한 타원형의 연못이지만 아무리 심한 가뭄이 와도 전혀 수량이 줄어들지 않는다고 한다. 통도사에서는 이 용을 모시는 가람각
을 세워 두었다.
-출처:나무위키-
. 위치: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 운영시간: 6:30 - 17:30
. 오시는 길: 부산에서는 동부시외버스터미널 (노포동 지하철역)에서 신평(통도사)행 승차 > 신평터미널 하차 하셔서 대중교통 이용가능합니다.
. 주차가능합니다. ( 경차 1,000원 / 중소형 2,000원 / 대형 3,500원)
주차 자리가 꽤 넓습니다만, 주말에는 자리가 없기도 합니다.
'국내여행 둘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리조트 거제 벨버디어 맛집 <치치더테라스> 숙성회맛집 강추후기 (0) | 2024.02.07 |
---|---|
부처님 오신 날 맞이 부산의 가볼만한 사찰 (2) 해동용궁사 (0) | 2023.05.16 |
[아이와 서울여행] 용산 전쟁기념관 어린이 박물관 추천 장소 (0) | 2023.05.03 |
[서울여행] 안녕 인사동 : 아이와 놀만한 곳 추천장소 (0) | 2023.05.01 |
경복궁 휴무(궁궐 휴궁일) 정보 및 수문장교대식 (0) | 2023.04.29 |
댓글